안녕하세요, 시장의 거대한 흐름 속에서 투자 기회를 포착하는 '검은불독'입니다! 🐶💪 최근 금리·물가·정책 변수로 미국 장기국채 ETF가 장기간 부진했습니다. 특히 동일 만기라도 ‘환헤지 유무’와 ‘듀레이션(금리 민감도) 수준’에 따라 체감 손익이 크게 달라 혼란스러우셨을 겁니다. 이 글은 현 위치 진단 → 하락 원인 → 반등 트리거 → 시나리오별 전략 → 체크리스트까지 한 번에 정리합니다.
무헤지형(TLT·EDV·TMF): 채권+달러 이중 베타. 방향 맞으면 수익 증폭, 반대면 손실 확대.
추가설명: 레버리지 ETF(TMF)는 ‘일간 수익률’에 레버리지를 거는 구조라 변동성 구간에서 복리감가가 발생합니다. 장기 보유 시 지수 대비 언더슈트를 겪을 수 있습니다.
5. 일정·지표 체크리스트: FOMC, CPI/PCE, 입찰, 규제 타임라인
📅 FOMC: 점도표·성명서의 인하 경로와 인플레 언급.
📊 CPI/PCE: 핵심 서비스(주거·근원임금) 둔화 여부.
🏦 국채 입찰: 10/20/30년 낙찰 금리·응찰 배수(Bid-to-Cover), 외국인 수요.
🧾 재정: 적자·발행 캘린더 업데이트(공급 압력).
⚖️ SLR 등 규제: 제안→코멘트→최종규정→시행 타임라인 체크.
💼 고용지표: 실업률·비농업 고용·임금상승률.
🧠 기대인플레이션: 미시건 기대/브레이크이븐 인플레(BEI) 추이.
6. 어려운 개념 쉬운 정리(용어 FAQ)
듀레이션(Duration): 금리가 1%p 변할 때 채권 가격이 몇 % 움직이는지를 보여주는 민감도. 장기물·EDV가 특히 큽니다.컨벡서티(Convexity): 금리 변화에 따른 가격-금리 관계의 곡률. 장기·스트립 구조는 컨벡서티가 커 금리 하락 때 이익이 더 커지고, 상승 때 손실도 확대될 수 있습니다.SLR: 보완적 레버리지 비율. 대형은행의 총 익스포저 대비 자기자본 최소비율. 완화 시 미국채 등 안전자산 보유 여력이 늘 수 있습니다.환헤지: 선물/통화스와프 등으로 달러-원 환율 변동을 제거. 비용(롤오버·금리차)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7. 리스크 관리: 레버리지 감가·포지션 사이징
분할: 가격·금리 레벨·지표 이벤트 앞뒤로 나눠 매수/매도.
사이징: 장기물/레버리지는 총자산의 일부로 제한. (예: TMF ≤ 2~5%).
룰: 손실 −7~10% 도달 시 감산 또는 헷지(미니금리선물·달러헷지 등).
템포: 장기물 트렌드는 분기 단위. 단타·과도한 회전은 감가를 키움.
8. 한 줄 요약 & 결론
지금의 장기국채 ETF 약세는 인플레 우려·공급 증가·정책 불확실성의 조합 때문입니다. 반면 성장 둔화와 금리인하, 그리고 SLR 완화 등 규제 변화가 가시화되면 선반영과 함께 중장기 저점 다지기→반등 시나리오가 열립니다. 듀레이션·환노출·레버리지를 이해하고, 분할·사이징·룰로 리스크를 관리하면 ‘무거운 포지션’을 기회로 바꿀 수 있습니다. 🙌
※ 본 글은 교육 목적의 일반 정보입니다. 투자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, 실제 규제·지표·일정은 최신 공시로 반드시 재확인하세요.
✅📣 광고 클릭은 저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!
이 블로그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, 여러분의 관심과 응원이 큰 원동력이 됩니다. 아래 보이는 광고 중 관심 가는 항목이 있다면 한 번쯤 클릭해보셔도 좋습니다 :)